강아지와 고양이에게 나타날 수 있는 울혈성 심부전, 그 원인과 증상, 진단 방법부터 치료와 관리까지 보호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정보들을 정리했습니다.
| 울혈성 심부전(CHF)이란 무엇인가요?
심장 기능 저하로 인해 신체 특정 부위에 체액이 축적되는 심각한 심장병입니다.
심장의 어느 쪽에 문제가 생겼느냐에 따라 체액이 폐, 흉강 또는 복부에 쌓이게 됩니다.
1. 울혈성 심부전은 왜 발생하나요?
심장 기능이 저하되어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않게 되면서 모세혈관 내 압력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체액이 모세혈관 밖으로 새어 나와 조직이나 폐 등에 쌓이면서 발생합니다.
심장의 왼쪽 기능이 떨어지면 폐에 체액이 고이며, 오른쪽 기능 저하시 복부(복수)나 흉강에 체액이 쌓이게 됩니다.
2. 울혈성 심부전의 주요 원인
심장 질환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대표적인 원인으로는 승모판 또는 삼첨판 질환으로 인한 판막 누출, 확장형 심근병, 비후성 심근병, 심장사상충 감염, 동맥관 개존증과 같은 선천성 심장질환 등이 있습니다.
폐동맥 협착증이나 대동맥 협착증과 같은 질환은 일반적으로 울혈성 심부전을 유발하지 않습니다.
3. 울혈성 심부전의 임상 증상
증상은 심장의 어느 쪽에 문제가 있는지에 따라 다릅니다.
▶ 좌측 울혈성 심부전: 폐부종을 일으켜 호흡곤란, 기침, 운동능력 저하, 빠른 호흡 등을 유발합니다.
▶ 우측 울혈성 심부전: 주로 복부 부종(복수)이 발생하며 복부 팽창으로 인해 불편함을 느껴 식욕 감소,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을 보입니다.
특히 고양이의 경우 증상이 갑자기 악화되어 입을 벌리고 헐떡거리며 병원에 오기도 합니다.
4. 울혈성 심부전 진단 방법
임상 증상, 청진을 통한 심장잡음 확인, 흉부 엑스레이 및 심장 초음파 검사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초음파 검사는 심장의 구조적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는 데 효과적이며, 전문적인 심장병 진단에 필수적입니다.
5. 울혈성 심부전의 효과적인 치료 및 관리 방법
근본적인 심장 질환 관리와 체액 제거가 중요합니다. 루프 이뇨제(푸로세미드, 토르세미드)를 사용하여 체액을 배출하며, 피모벤단, ACE 억제제 등 추가 약물을 병행하여 심장 기능을 개선합니다.
복수나 흉강 내 체액이 반복적으로 차는 경우 정기적으로 병원을 방문하여 체액을 제거해야 합니다.
6. 반려동물 울혈성 심부전 관리와 모니터링
수면 중 호흡수를 모니터링하여 이루어지며, 호흡수가 증가하면 즉시 수의사의 상담을 받아야 합니다.
정기적인 혈액검사와 흉부 엑스레이 촬영을 통해 상태를 지속적으로 평가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7. 예후와 보호자의 역할
울혈성 심부전을 앓는 반려동물의 평균 생존 기간은 2년 미만이며, 보호자의 꾸준한 모니터링과 적극적인 관리가 예후 개선에 필수적입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강아지 심장 잡음 원인과 관리법, 그냥 둬도 괜찮을까요?
강아지의 심장 잡음, 단순한 소음일까요? 질환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원인부터 진단, 치료 방법까지 확인하세요. 심장 잡음은 강아지와 고양이에게서 비교적 흔하게 발견되는 증상 중 하나입니
myrealsimple.com
참고자료: Mark Rishniw, BVSc, phD, DACVIM (SA-IM), DACVIM (CA) 'Congestive Heart Failure in Dogs and Cats' 2024
댓글로 궁금한 내용을 남겨주시면
확인 후 빠르게 답변드릴게요 🙂
'반려동물 건강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아지, 고양이 심장병, 수면 중 호흡수로 조기 진단하는 법 (0) | 2025.05.12 |
---|---|
강아지, 고양이 심장초음파: 조기 진단의 중요성 (1) | 2025.05.11 |
노령견에게 흔한 승모판막 질환, 원인부터 예후까지 (1) | 2025.05.08 |
강아지 심방세동, 언제 치료가 필요할까요? (1) | 2025.05.06 |
강아지 심장 잡음 원인과 관리법, 그냥 둬도 괜찮을까요? (2) | 2025.05.05 |
댓글